이바지 음식이란?
'이바지'란 '정성 들여 음식을 준비하다'라는 뜻의 '이바지하다' 라는 말이 어원이다. 정성스럽게 음식을 준비하듯 시부모를 잘 모시겠다는 성의의 표시이다.
이바지음식의 본래의미는 새 식구가 왔음을 시댁 사당에 고하는 제사에서 사용할 음식을 신부가 마련한 것으로서, 성심껏 시부모님을 모시겠다는 마음의 표현이자 친정 어머니의 솜씨와 정성을 담아 시댁에 보내는 의미 있는 음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시댁 식구들에게 인사하는 의미로 이바지음식을 가지고 간다.
이바지 음식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육류와 전, 찜, 밑반찬 등이 들어간다. 12가지의 양념과 산적, 찜, 과일, 한과, 떡, 육회 등이 포함된다.
다음날 아침 신부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아침상을 차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는 것이지만 가짓수에 신경을 쓰는 것보다 서너 가지라도 얼마나 깔끔하게 정성을 보이느냐가 중요하다.
이렇게 친정에서 이바지음식을 해 보내면 시댁에서는 그 답례로 며느리에게는 큰상을 내리고 사돈댁에 얼마간의 음식을 보내는 것으로 예의를 갖췄다. 요즘에는 고기나 산적 등은 나중에도 먹을 수 있도록 양념만 해서 날고기로 보내는 경우도 있는데 원칙적으로 이바지음식은 익혀서 보내는 것이 예의다.
그리고 정성을 담은 음식의 맛과 모양만큼 중요한 것이 음식을 담는 그릇인데 계절이나 음식의 종류에 맞춰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플라스틱 그릇은 미관상 보기에 안 좋으니 피하도록 한다. 대바구니나 종이 함, 목기를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시댁 식구들과 이웃이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고 음식을 신선하게 하기 위해 시댁에 신랑 신부가 가기 전 날 장만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 예담폐백
'이바지'란 '정성 들여 음식을 준비하다'라는 뜻의 '이바지하다' 라는 말이 어원이다. 정성스럽게 음식을 준비하듯 시부모를 잘 모시겠다는 성의의 표시이다.
이바지음식의 본래의미는 새 식구가 왔음을 시댁 사당에 고하는 제사에서 사용할 음식을 신부가 마련한 것으로서, 성심껏 시부모님을 모시겠다는 마음의 표현이자 친정 어머니의 솜씨와 정성을 담아 시댁에 보내는 의미 있는 음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시댁 식구들에게 인사하는 의미로 이바지음식을 가지고 간다.
이바지 음식의 종류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육류와 전, 찜, 밑반찬 등이 들어간다. 12가지의 양념과 산적, 찜, 과일, 한과, 떡, 육회 등이 포함된다.
다음날 아침 신부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아침상을 차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는 것이지만 가짓수에 신경을 쓰는 것보다 서너 가지라도 얼마나 깔끔하게 정성을 보이느냐가 중요하다.
이렇게 친정에서 이바지음식을 해 보내면 시댁에서는 그 답례로 며느리에게는 큰상을 내리고 사돈댁에 얼마간의 음식을 보내는 것으로 예의를 갖췄다. 요즘에는 고기나 산적 등은 나중에도 먹을 수 있도록 양념만 해서 날고기로 보내는 경우도 있는데 원칙적으로 이바지음식은 익혀서 보내는 것이 예의다.
그리고 정성을 담은 음식의 맛과 모양만큼 중요한 것이 음식을 담는 그릇인데 계절이나 음식의 종류에 맞춰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플라스틱 그릇은 미관상 보기에 안 좋으니 피하도록 한다. 대바구니나 종이 함, 목기를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시댁 식구들과 이웃이 함께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고 음식을 신선하게 하기 위해 시댁에 신랑 신부가 가기 전 날 장만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 . 예담폐백
신랑 집에서는 음식을 보고 사돈집의 가풍까지 짐작하곤 했다. 그만큼 사돈간에 왕래가 활발하지 않았다는 뜻이고, 동시에 음식 선물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전통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격식과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 음식 선물은 그 본래의 ‘먹고 즐긴다’는 의미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격식에 얽매여 과도하게 장만하면 오히려 상대를 부담스럽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번에 수량의 많고 적음을 떠나 한두 가지라도 좋은 그릇에 정성껏 솜씨를 보여 아름답게 포장을 해서 보내는 것이 좋다. 오늘날은 사돈간의 교류도 잦아진만큼 명절이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자주 선물하는 것도 전통과 현대의 풍습을 동시에 반영하는 좋은 방법이다.
이바지 음식 준비하기
이바지 음식을 크게 나누면 안주류, 반찬류, 그리고 떡·과자류이다. 첫째, 안주 종류는 마른 것과 진 것이 있는데, 마른 것은 육포와 어포, 부각 등이며, 진 안주는 갈비찜, 생선찜, 전유어, 산적 등이다. 둘째, 반찬류는 시집가서 새색시가 밥을 짓고 반찬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친정어머니가 딸을 생각해서 준비해주는 것으로 종류는 자반, 젓갈, 구이, 장아찌, 마른 찬 등이 있다.
예전에는 시집살이에 요긴했던 반찬이지만 지금은 살림을 시작하는 신부를 돕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떡과 과자는 이바지 음식에서 뺄 수 없는 것으로 찰떡, 메떡, 약과, 강정, 다식, 정과, 깨강정, 엿 등이 있다. 떡·과자 이바지는 양가에서 인사를 해야 할 손님들에게 선물로 나누어 보낼 수 있어 요긴하게 쓰인다. 냉동실에 잘 보관하면 평소 오시는 손님들에게 차 대접을 할 때 같이 낼 수도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현대에는 전통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격식과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 음식 선물은 그 본래의 ‘먹고 즐긴다’는 의미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 불필요한 격식에 얽매여 과도하게 장만하면 오히려 상대를 부담스럽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번에 수량의 많고 적음을 떠나 한두 가지라도 좋은 그릇에 정성껏 솜씨를 보여 아름답게 포장을 해서 보내는 것이 좋다. 오늘날은 사돈간의 교류도 잦아진만큼 명절이나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자주 선물하는 것도 전통과 현대의 풍습을 동시에 반영하는 좋은 방법이다.
이바지 음식 준비하기
이바지 음식을 크게 나누면 안주류, 반찬류, 그리고 떡·과자류이다. 첫째, 안주 종류는 마른 것과 진 것이 있는데, 마른 것은 육포와 어포, 부각 등이며, 진 안주는 갈비찜, 생선찜, 전유어, 산적 등이다. 둘째, 반찬류는 시집가서 새색시가 밥을 짓고 반찬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친정어머니가 딸을 생각해서 준비해주는 것으로 종류는 자반, 젓갈, 구이, 장아찌, 마른 찬 등이 있다.
예전에는 시집살이에 요긴했던 반찬이지만 지금은 살림을 시작하는 신부를 돕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떡과 과자는 이바지 음식에서 뺄 수 없는 것으로 찰떡, 메떡, 약과, 강정, 다식, 정과, 깨강정, 엿 등이 있다. 떡·과자 이바지는 양가에서 인사를 해야 할 손님들에게 선물로 나누어 보낼 수 있어 요긴하게 쓰인다. 냉동실에 잘 보관하면 평소 오시는 손님들에게 차 대접을 할 때 같이 낼 수도 있어 유용하다.
1 곱게 포장한 오색의 인절미.
2 지단으로 곱게 장식한 갈비찜.
3 정성스런 새우와 표고버섯전.
4 정갈한 반상기에 담긴 홍합요리가 먹음직스럽다.
Wedding21 05년 11월호. 글_한복려
이바지 음식의 의미와 숨은 뜻
이바지 음식은 사돈간에 직접 만나지 않아도 정을 주고받을 수 있는 정표이며 아름다운 풍습이다. 또한 가풍과 솜씨를 은연중에 자랑할 수 있는 기회이기에 혼인에 있어 더욱 필요하다.
이바지 음식은 신행 음식, 재행 음식, 봉송, 상수, 차반, 근친 음식 등으로 지방마다 다르게 불리기도 한다. 처음 인사할 때만 이바지 음식을 보내는 것은 아니다. 신부 댁에서 온 음식이나 신랑 댁에서 온 음식을 일가친척이 나누어 먹고 또 답례로 보내며, 명절, 사돈측 경사, 신랑 신부가 친정에 다니러 갈 때는 빈손이 아닌 맛있는 음식을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바쁜 세상에 일일이 음식을 장만하여 시시때때 보낼 수 없는 일이니 상대가 요긴하게 쓸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이바지의 본뜻이 될 것이다.
술에 곁들일 안주 이바지
이바지 음식은 크게 안주, 반찬, 한과·떡, 과일, 술 등으로 나뉜다. 안주 이바지에는 전, 갈비, 산적, 해물, 편육·냉채, 마른안주 등이 포함된다. 전 이바지는 삼색전으로 할 수 있다. 삼색전은 고기류, 어패류, 채소류로 색이 나타나면서 시간이 지나도 물이 생기지 않고 상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고기는 쇠고기를 얇게 썰어 핏물을 없애고, 옷을 입혀 지지거나 삶아서 편육으로 부쳐도 된다. 또는 다진 고기를 양념하여 둥글게 완자전을 부친다. 어패류전의 재료로는 흰살생선, 조개, 패주, 새우 등이 있으며, 채소전은 연근, 우엉, 호박, 수삼 등을 전감으로 할 수 있다. 채소전은 그대로 하기도 하지만 표고버섯, 고추, 깻잎 등은 양념한 고기를 붙여서 전을 지진다. 녹두전이나 북어전을 크게 부쳐 아래에 깔고 위에 모양 낸 전을 색을 맞추어 담는다.
갈비 이바지는 갈비를 토막 내어 삶은 후 다시 양념하여 무르게 찜한다. 밤, 대추, 표고버섯, 은행을 곁들여 담는다. 또 갈빗살을 포를 떠서 양념한 채로 냉동하여 보내기도 한다. 산적 이바지는 고기, 채소, 당근, 고사리를 꼬치에 길게 끼우거나 실파, 더덕, 풋고추, 수삼 등을 잘게 썬 고기와 번갈아 끼워 달걀옷 또는 밀가루즙을 묻혀 지진다.
해물 이바지는 새우, 전복, 반쯤 말린 생선을 쪄서 고명을 얹는다. 편육·냉채 이바지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 쇠머리, 우설 등을 삶아 눌러 얇게 썰어 담고 같이 먹을 수 있는 겨자채나 해파리냉채, 백김치 등을 같이 보낸다. 마른안주 이바지는 부각이나 마른생선, 육포를 보낸다.
반찬과 한과·떡 이바지
반찬 이바지에는 구이 이바지와 밑반찬 이바지가 포함된다. 구이 이바지는 쇠고기를 다져서 양념하여 반대기를 얇고 모지게 만들어서 굽는다. 더덕은 얇게 두드려 펴서 고추장 양념을 발라 굽는다. 북어는 불려서 가시를 빼고 그대로 하거나 양념고기를 얇게 붙여 굽는다.
밑반찬 이바지는 장아찌류(무·고추·더덕·감·깻잎 등), 조림류(장조림·호두조림·콩자반·조갯살조림 등), 무침류(파래·북어·김 등), 젓갈류(어리굴젓·오징어젓·명란젓 등)의 음식을 작은 단지나 통에 먹기 알맞게 손질하여 양념하여 담는다.
한과·떡 이바지에는 찰떡, 메떡, 유과, 유밀과, 쌀강정, 다식, 엿강정, 숙실과 등이 있다. 찰떡 이바지는 인절미의 고물을 5~9가지 색을 달리해서 묻혀 담는다.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동글게 만들어 기름에 지진 화전, 부꾸미, 주악도 있다. 콩, 팥, 견과류를 듬뿍 넣어 쪄서 얇게 썰어 만드는 찰시루떡도 있다. 메떡 이바지는 절편, 송편, 증편을 색스럽게 만든다. 유과 이바지는 산자, 강정, 빙사과가 있다. 유밀과 이바지에는 약과, 매작과 등이 포함된다.
이바지 담을 그릇 준비
이바지 담는 그릇은 대부분 목기 쟁반을 쓰지만 가짓수가 많다 보면 비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짓수를 많이 하지 않으며 예의를 갖출 수 있는 이바지 음식을 구성하려면 찬합 등을 쓰면 매우 좋다. 적은 분량이지만 안주, 한과, 떡, 반찬에서 한두 가지만 구색을 갖추어 담고 다음에 보낼 때 또 다른 것을 하면 된다. 요즈음에는 음식을 선물할 때 담는 그릇도 중요하다. 그릇만 선물을 보내는 것보다는 음식을 같이 담아 고운 보자기에 싸서 보내면 더욱 선물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1 곱게 담긴 한과 이바지
2 정성스런 전 이바지로 어패류의 재료로는 흰살 생선, 조개, 새우 등이 있다
3 정갈한 밑반찬 이바지
사진_최동혁. 글_한복려
'우리집 짓기 와 우리집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 보내기 & 함 들이기 (0) | 2011.10.27 |
---|---|
2011년 10월 9일 관인면 냉정지의 아침풍경 (0) | 2011.10.14 |
생일날 ! (0) | 2011.10.04 |
2011년 9월 19일 용정산 산행 (0) | 2011.09.20 |
2011년 8월8 온양에 아침 놀 !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