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군오의 ( 諫君五義)
자공( 子貢 ) 이 공자에게 따졌다 .
제나라 임금이 정치를 묻자 , 재물을 절약하라 하시고 ,
노나라 임금에게는 신하를 잘 깨우치라 하셨습니다.
또 초나라 섭공( 葉公 ) 에게는 가까운 사람을 줄겁게 하고
먼 사람을 오게 하라고 하셨지요 .
어째서 같은 물음에 대답이 다른지요 ?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
"그 사람에게 맞게 대답해 준것뿐이다 , 제나라 임금은 너무 사치스럽고 ,
노나라는 못된 신하가 임금을 애워싸고 있다 .
초나라는 당떵어리만 넓지 수도가 좁다 .
각자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급선무가 같을 수 없는 법이지 ."
공자가어 ( 孔子家語 ) 변정 (辯政 ) 편에 글입니다 .
이어 ~
공자는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에게 간하는 다섯 가지 방법을 말했다 .
첫째가 휼간 ( 譎諫 ) 이다 .
대놓고 말하지 않고 넌지시 돌려서 간하는 것을 말한다 .
말하는 사람이 뒤탈이 없고 듣는 사람도 기분좋게 받아들일 수 있다 .
두번째는 당간 (戇諫 )이다 .
당(戇 )은 융통성 없이 고지식한 것이니 , 꾸밈없이 대놓고 간하는 것이다 .
자칫 후환이 있을 수 있다 .
세번째는 강간 (降諫 ) 이다 .
자신을 낮춰 납짝 엎드려 간하는것이다 .
상대를 추어주며 좋은 낮빛으로 알아듣게 간하는 것이다 .
우쭐대기 좋아하는 임금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 .
네번째가 직간 (直諫) 이다 .
앞뒤 가리지 않고 곧장 찔러 말하는 것이다 .
우유부단한 군주에게 필요한 처방이다 .
다섯째는 풍간 (諷諫 )이다 .
비꼬아 말하는 것이다 .
딴 일에 견주어 풍자해서 말하는 방식이다 .
말속에 가시가 있다 .
한나라 때 유향(劉向 )도 설원(設苑 ) 정간(正諫 )편에서 직간(直諫 )대신
정간(正諫 )을 넣어 이 다섯 가지 간언 (諫言 )의 방식을 설명했다 .
간언도 상대를 보아가며 가려서 해야한다 .
직간과 당간만 능사가 아니다 .
시도 때도 없이 입바른 말만 해대면 ,아무리 충정에서 나왔다 해도 윗사람의
역정을 불러 마침내 미움을 사 해를 입는다 .
자신을 낮추는 강간은 자칫 천하게 보이기 쉽다 .
아첨과 잘 구분해야 한다 .
휼간과 풍간은 말귀를 못알아듣는 임금에게 는 백날 해야 아무 효과가 없다 .
직간하면 발끈 성을 내고, 풍간하면 행간을 놓친 채 칭찬으로 알아듣는 임금은 방법이 없다 .
간(諫)은 윗사람을 설득하는 일이다 .
설득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
출처 : 조선일보 정민의 세설신어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현명한 인생 ( 비지니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까이 있는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이 찾아온다 (0) | 2011.04.07 |
---|---|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0) | 2011.02.19 |
비전과 동기부여 (0) | 2010.12.27 |
주인이 되면 세상이 달라진다 (0) | 2010.10.12 |
미루는 마음이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 (0) | 2010.08.27 |